Iohb3ab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1편)
본문 바로가기
교육 Education Pendidikan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1편)

by 청춘교사둘 2022. 9. 25.
반응형

1.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의 소진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아동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교사들이 그러한 아동을 지도할 때 어떤 방법으로 대할까요? 그런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느끼는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일까요? 그러면 이런 상황에서 교사들에게 필요한 자원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러한 궁금증은 교사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식으로 많이 다루지 않는 주제일지 모릅니다. 그동안 교사는 교사다움 혹은 성직관이라는 인식으로 모든 학생을 사랑으로 혹은 학생들의 올바른 생활 습관과 학습 지도를 위해 전념해야하는 존재로 생각해 왔기 때문입니다. 그 말인즉슨, 부정적인 감정을 최대한 억제하고 최대한 온화함과 열정으로 가르쳐야 하는 존재로 보여야 하는 것입니다. 사실 교육 현장은 교사와 학생 간에 무수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많은 교사들은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많은 소진을 경험하고 있지요.

 

2.  선행 연구 내용

 학교는 교육이라는 활동을 위해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다. 그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은 가르치고 배우는 지적 활동만이 아니라 서로 감정을 주고받게 된다. 교사는 자신이 만나는 여러 학생들에 대해 감정을 가지게 되고,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경험한다.(Hagenauer & Volet,2014; Nias, 1996).

 긍정적, 부정적 감정이 있듯이 교사는 학급의 모든 학생들을 동등하게 좋아하려고 노력하려고 하지만 현장에는 분명히 교사에 따라 선호하는 학생과 선호하지 않는 학생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회가 교사에게 요구하는 이상적 교사상 때문에 교사가 학생들을 향한 감정을 드러내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황수아, 최한울, 2014).

 다양한 감정이 오고 가는 교실에서 교사는 학급의 학생들에 대해서로 다른 감정을 갖게 된다. 학생들이 학급에서 더 좋아하는 친구 또는 싫어하는 친구가 있듯이 교사 또한 학생 중에 좋아하는 학생 또는 싫어하는 학생이 있을 수 있다. 즉, 교사는 학급의 모든 학생들을 당연히 좋아해야 한다는 이상적인 기대를 받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모든 학생들을 동일하게 좋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김동현, 2011).

 

3. 교사 직업만족도 꼴찌

 

 이처럼 선행 연구한 내용은 교실 현장 속에서 교사들도 다양한 부정적 경험을 경험하고 있고, 교사에 따라 선호하는 학생, 선호하지 않는 학생으로 인식은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교사의 직업만족도는 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권인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10명 가운데 4명은 교사가 된 것을 후회한다고 보고되었는데(OECD, 2014),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직업만족도가 낮은 이유에는 ‘학생들을 생활지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라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것은 학생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스트레스, 특히 비선호 학생들을 다루면서 부정적인 경험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적인 “교사다움”으로 교사를 인식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오히려 교사가 가지는 학생에 대해 따라서 교사가 학생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에 대해 비윤리적이라고 단정 짓기보다는 교사가 학생을 싫어하게 되는 현상 자체에 대해 탐색하여,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파악해야 함이 중요할지 모릅니다.


4.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학생 유형

 

 그러면 초등교사가 생활지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함은지, 황매향) 논문을 참고하여 초등교사의 어려운 생활지도에 대해 앞서 말한 물음에 살펴보고자 합니다. 일단 서양에서 다루어진 연구 결과에는 선호하는 학생과 비선호 학생은 다음과 같습니다.

교사는 순응적인 학생, 친구들에게 친절하고 사교적인 학생, 학업에 충실한 학생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Babad, 1995; Chang et al., 2004; Wentzel &Asher, 1995). 반면, 교사는 의존적이거나 파괴적인 행동을 하는 학생, 공격적 행동을 하는 학생에 대한 선호가 낮은 경향이 있다고(Birch & Ladd, 1998; Wentzel, 1991) 밝히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대략 4가지로 교사가 좋아하지 않는 학생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산만한 아동 2) 교사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아동 3) 다른 아동을 괴롭히는 것이 빈번한 아동 4) 이기적인 아동이 있습니다.

 먼저 산만한 아동은 학급 분위기를 전체적으로 흐리는 학생입니다. 장난이 많은 학생뿐 아니라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으로 수업 방해를 하거나 다른 학생까지 그런 행동을 하도록 영향을 끼치는 학생입니다.

 두 번째 교사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아동은 교사의 감정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속하는데, 교사의 지도 방식과 교수학습 지도 방식에 긍정적이 아닌 부정적으로 대함으로써 교사를 힘들게 하는 경우입니다. 교사가 좋은 의도를 가지고 수업을 하거나 아동을 지도하려고 했으나, 이것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면 감정이 상하게 되어 그 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게 되는 경우도 많다.

 세 번째 다른 아동을 괴롭히는 것이 빈번한 아동은 동료 학생들에게 싫어하는 하거나 때리는 경우입니다. 특히 비선호 이유로 많은 사례로 보고된 것은 학급 친구들을 괴롭히는 행동입니다. 남교사보다 여교사에게서 이러한 답변이 많이 보고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아동들이 있는 학급은 교사가 항상 교실 상황을 주시해야하고 잠시라도 교실을 비울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교사는 쉬는 시간까지 가질 수 없으며, 항상 아동을 지도해야하는 하기에 교사는 정서적으로 심한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기적인 학생은 교실에서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고 자신만 생각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우선적으로 하려는 아동입니다. 교실은 여러 명이 서로 배려하면서 생활해야하는 공간인데 자신이 원하는 것만 하려는 아동이 있을 때 교사는 싫어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이기적인 아동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이 불편한 것을 참지 못하는 특성 때문에 교사가 계속해서 그 아동을 지도해야 하는 상황을 만들어 교사를 더 힘들게 한다고 합니다.

 

Nias, J. (1996). Thinking about feeling: The emotions in teaching.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26(3), 293-30
Chang, L., Liu, H., Wen, Z., Fung, K. y., Wang, Y., & Xu, Y. (2004). Mediating teacher liking and moderating authoritative teachering on Chinese adolescents’ perceptions of antisocial and prosocial behaviors. J 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2), 369-380
OECD (2014). TALIS 2013 Resul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teaching and learning. Paris, France: OECD.

 

김동현(2011). 교사선호도 수준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간의 관계검증. 박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경기.
손현동, 김은실(2014). 초등학교 교사 민감성에 영향을 주는 정서와 유발 변인에 대한 질적분석. 교원교육, 30(1), 137-166.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