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교과내용을 가르치는 것보다 여려운 생활지도
초등학교 현장에서 생활지도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교사 1명에 다인수 학생을 가르치고 심리적, 정서적인 면까지 보살피다 보니 학생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상담도 해야 하고, 학생 간 문제가 발생했을 때,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보고 최선의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사소한 일부터 큰 사고에 이르기까지 생활지도는 학교가 있는 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제 지인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교사의 본연 목적이 수업 연구와 가르치는 것에 힘을 써야 하지만 오히려 수업 연구보다는 생활지도 면에서 힘을 과하게 쓰고 있고, 번아웃이라는 소진도 토로하기도 합니다. 명예퇴직을 염두하고 있는 교사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생활지도의 어려움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저의 지적 호기심을 채울 겸, 관련 논문을 읽고 정리해 봅니다.
2. 생활지도의 어려운 이유: 1. 사회적 배경
요즘 학생들과 관련하는 범죄 혹은 비행, 일탈이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드라마와 다양한 언론에서 거론되고 있는 촉법소년에 대한 관심도 커가고 있다. 모두 학령기 학생들로 대부분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이들에게 학교 교육은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인터넷 중독, 자살 및 자해, 학교폭력, 학업 중단, 청소년 강력범죄 등 학생들의 비행 및 일탈 행동, 정서⋅심리⋅행동적 문제들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한국의 교육 문제에 대한 걱정스러운 시각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근대 이후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라 교육의 양적 과부하와 과잉교육 현상을 경험하면서 학력 중심 사회를 일궈왔다(윤민재, 2011).”
이러한 남을 밟고 올라가야 하는 경쟁 상황 속에 입시 목적의 교육 구조를 형성해온 학교 교육은 인성교육을 포함한 강력한 생활지도에 대한 요구에 직면하고 있는 셈이다.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등의 가족 양상이 증가하면서 과거에 각 가정이 수행해 오던 자녀 돌봄의 기능이 다소 취약해짐에 따라(김유경, 2010), 생활지도는 더욱 학교의 중요한 과업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서 학교 현장에서는 생활지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한국의 많은 선생님은 상담 및 생활지도에 많은 시간을 투입하며 교육하고 있다. OECD가 주관하는 교원 및 교직 환경 국제 비교 조사 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에서, 한국 교사는 OECD 평균과 비교하여 수업에 투입되는 시간은 적은 데 비하여, 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 등이 차지하는 시간이 많다고 보고된 바 있다.
3. 생활지도는 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이처럼 사회적 배경과 인식으로 인해서 생활지도는 나날이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교사에게는 실로 많은 어려움, 부담감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면 생활지도에 대해 어원적 의미를 살펴보자.
생활지도란, 개인의 잠재 가능성 발견과 자기 이해를 통한 궁극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김충기, 1998; 박성수, 1995; 황응연 외, 1988) 현명한 자기 선택과 결정, 자기 지도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홍경자, 1996; Katz, 1980),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삶의 기술을 가르치는 일련의 과정(Honig& Wittmer, 1996)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생활지도는 그 영역과 범위가 모호하며 광범위하기 때문에 교직 경력과 관계없이 현장에 있는 한 끊임없이 고민하게 되는 고난도 영역이라고 인식되고 있다(길말선 외, 2016; 김지연 외, 2016).
이를 종합해보면 생활지도의 개념이 정확하지 않고 매우 의미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교사들은 어려우나, 사회적 인식으로 부담감은 날로 커지기 대처하기 위한 준비 없이 큰 벽을 실감하고 있다. 반면 학생인권조례로 학생 인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지만, 반대로 학생 지도에 관한 생활지도가 잡히지 않아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생활지도가 다인수 학생을 관리하면서 개개인 학생들까지 고려해야 하는 맞춤형 상호작용 활동이다. 또한 교사의 역할과 지도 행 위에 대한 해석 및 평가가 사회적인 이슈로 자주 논의되는 상황에서 교사의 지도 부담 및 어려움은 나날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2017년 전국의 교원 1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98%가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을 호소한 것으로 드러났다(연합뉴스, 2017). 2020년 2월 말에는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원은 지난해보다 11%가량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가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교육 활동 침해 사안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매일경제, 2020).
4. 생활지도 어려움에 따른 영향
1) 학생 생활지도의 어려움은 교사를 소진시킨다.
생활지도의 어려움은 교사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박대준(2015)과 황명선(2015)의 연구에서는 대다수의 많은 교사가 학생들의 문제행동 관리를 비롯한 학생 생활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이 교사의 소진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생활지도 과정에서의 계속적인 정서적 부담과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은 학교 내에서의 업무 및 수업 수행력을 2013), 학생에게는 심리적, 정서적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거나(Jennings & Greenberg, 2009; Oberle & Schonert-Reichl,2016), 학교생활 부적응 및 학업 소진을 초래하기도 한다(성진숙, 2018).
2) 그럼에도 긍정적인 희망, 생활지도로 반성하는 삶
그럼에도 모든 교사가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소진을 겪고,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길말선 외의 연구(2016)에 의하면 교사들은 여러 학생을 지도하는 과정 중에 학생들로부터 상처를 겪으면서도 보듬어 안으려고 애쓰거나, 단기적 변화가 없어 보여 좌절하면서도 반복 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변화를 믿고 기다려주는 등 다양한 소진요인 속에서도 학생들이 점차 긍정적인 모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교사로서 큰 보람을 느끼며 적응과 발전의 과정들을 거친다고 하였다. 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이정희(2008)의 연구에서도 고경력의 교사들은 교직 경력 여러 해 동안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반성적 사고 및 성찰을 통해 긍정적인 생활지도의 방향성을 정립하게 되며, 학생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관계 맺기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교사 발달의 과정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반복 순환적 과정이 교사의 발달을 이끌며, 혼란과 갈등 속에서도 학교 공동체를 긍정적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동력이 되는 것이다.
학생은 교사로부터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정서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지은림 외, 2003) 안정되고 건강한 교사의 삶은 행복한 학생의 삶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매시간, 매분, 매초 마다 생활지도는 이루어지고 있고, 생활지도의 어려움 속에서 이를 극복하며 성장하고 있는 교사의 목소리를 귀 기울이면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를 비롯해 생활지도에 대한 법률적, 정서적, 심리적 차원에서 전문적 지원이 이루어져서 교사의 행복한 삶이 학생들에게도 보람찬 삶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참고문헌
- 김지혜⋅신효정(2022) 초등교사의 고학년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길말선, 권다남, 김대현 (2016). 중등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대응에 관한 연구.
- 홍경자 (1996). 성장을 위한 생활지도.
- 성진숙, 최현주 (2018). 교사 소진과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 소진 간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 Honig, A., & Wittmer, D. (1996). Encouraging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 이정희 (2018). 초등교사의 중도 입국 학생 생활지도 경험 연구.
- Oberle, E., & Schonert-Reichl, K. A. (2016). Stress contagion in the classroom? The link between classroom teacher burnout and morning cortisol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성수, 유효순 (1995). 아동 생활지도.
- 황응연, 김여옥, 이원구 (1988). 생활지도의 실제
- 황명선, 신효정 (2015). 교사가 지각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통한 사회적지지의 매개된 조절 효과.
- Jennings, P. A., & Greenberg, M. T. (2009). The prosocial classroom: Teache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relation to student and classroom outcomes.
- 이영만 (2013).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
- 김유경, 박정윤, 송혜림 (2010). 맞벌이 가정의 자녀 돌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연구: 민간기관 제공 서비스를 중심으로.
- 박대준, 최수찬 (2015). 교사가 지각한 학급 내 학생의 문제 행동이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윤민재 (2011). 한국의 교육 문제에 관한 정치 사회학적 고찰.
- 지은림, 백순근, 채선희, 설현수 (2003).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CC BY-SA 2.0 KR
'교육 Education Pendidik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에세이] 선생과 학생과 불통, 장자로 수업바라보기 (0) | 2023.01.30 |
---|---|
[교육에세이] 행복, 교육 그리고 깨달음_교육에 대한 단상 (0) | 2023.01.29 |
인공지능 기반 교육 AI펭톡에 대해 알아보자.(소개, 이점, 아쉬운 점) (0) | 2022.09.27 |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1편) (0) | 2022.09.25 |
초등 교원 양성 기관, 한국과 미국 비교 분석 (0) | 2022.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