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등학생 감소와 교원 수 추세
요즘 초등학생 감축 원인으로 2023. 초등임용으로 선발하는 인원을 줄어들고 있다. 앞으로 임용으로 선발하는 교원의 수는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이처럼 대부분의 지역에서 선발하려는 교사 인원이 줄어드는 것은 저출산 현상, 학령 인구가 계속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교원 정원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교원단체는 학생 개인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코로나19에 따른 학력격차 극복을 위해서는 선발을 오히려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학생수 즉 학령인구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선발 인원을 대폭 확대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2. 초등 교원 양성 체계 비교, 한국과 미국
필자는 이런 현 상황에서 학령 인구 감소로 인한 초등 교원의 양성기관에 대해 매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과연 우리나라 초등 교원 양성 체계는 어떤지 다른 나라와의 비교 사례에 대해 매우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던 것이다. 현재 교대 입학 정원, 앞으로의 임용고시 선발 인원, 다양한 미래 상황에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추도록 교사 양성 체계의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교원 양성 기관은 예비 교사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많은 학습량이 우려가 나오고 있고, 인근 대학과 연계한 학점 이수를 인정하고 있지만, 양성 기관 내에 다양한 전문성을 신장시켜줄 커리큘럼이 부족한 편이다. 초등 교육 전공을 한 필자의 지인을 말을 빌리자면 대학 수업이 고등학교를 다시 다닌 것 같다는 말도 듣기도 하였다. 수업도 학과 별로 정해져 있고, 교양도 매우 부족한 편이라고 했다.
그래서 필자의 지적 호기심을 해결할 논문과 참고 자료를 통하여 글로 기록하여 남기도록 해본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교육 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과 관련한 논문을 참고하여 현재 초등 양성 기관이 어떻게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는지 간단한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3. 우리나라 초등 교원 양성 제도
일단 먼저 초등 교원 양성 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초등 교사 자격 기준을 살펴보자.
* 한국의 초등교사 자격 기준
- 정교사 1급
1.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3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일정한 재교육을 받은 사람
2.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교육경력이 3년 이상이고, 방송통신대학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사람
3.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증을 가지고 교육대학원 또는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의 교육과에서 초등교육과정을 전공하여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으로서 1년 이상의 교육경력이 있는 사람
- 정교사 2급
1. 교육대학을 졸업한 사람* *교원대, 제주대 초등교육과 포함
2. 사범대학을 졸업한 사람으로서 초등교육과정을 전공한 사람** **이화여대 초등교육과
3. 교육대학원 또는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대학원의 교육과에서 초등교육과정을 전공
4. 초등학교 준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2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일정한 재교육을 받은 사람
5. 중등학교 교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필요한 보수교육을 받은 사람
6. 전문대학을 졸업한 사람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입소 자격으로 하는 임시 교원양성기관을 수료한 사람
7. 초등학교 준교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교육경력이 2년 이상이고 방송통신대학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사람
우리나라 초등 교원 자격은 교육부에서 교원 자격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초·중등교육법을 근거로 교육부에서 제시한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교원대, 이화여대, 제주대 초등교육과 과정을 수료하거나 또는 10개의 교육 전문 대학교(경인, 공주, 광주, 대구, 부산, 서울, 진주, 전주, 청주, 춘천)에서 수료해야 한다. 초등교사의 자격증 표시과목은 도덕,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실과, 영어 등 10과목이며, 13개 기본 이수 과목으로는 초등국어, 초등윤리, 초등수학, 초등사회, 초등과학, 초등체육, 초등음악, 초등미술, 초등영어, 초등 실과, 초등컴퓨터, 통합교과, 초등안전교육이 있다. 심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이와 동일하거나 학교마다 조금씩 비슷하거나 다르다. 이 중 경인교육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가 특수(통합)교육과가 심화 과정으로 개설된 교육대학이다. 한국 초등교사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해당 대학에서 학점, 교육실습, 인성 검사, 응급 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2회 이상) 등을 이수해야 한다.
4. 미국 초등 교원 양성 제도
그럼 이번에는 미국 초등 교원 양성을 알아보자.
미국은 50개의 다른 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마다 교사 기준이 상이하다. 다만, 교육부(Department of Education)의 기본 틀 아래 각 주 교육부(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정책에 따라 대학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육대학교와 제주대, 이화여대, 교원대 초등교육과 등 한국에서 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경로가 한정적인 것에 비하여 미국에서는 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하다. 일반 4년제 대학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 4년제 대학을 기반으로 한 대안 프로그램, 전문대학이나 및 지역 학교를 기반으로 한 대안 프로그램 등 여러 경로로 교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미국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2015), 약 89%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일반적인 4년제 대학을 통해서, 나머지 11%의 교사들은 교육학 과정을 추가로 이수하는 대안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 자격을 갖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4년제 대학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는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통한 교사 양성이 포함되는데, 이 중 약 28%의 교사들이 대학원 과정을 통해 교사 자격을 갖추는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 교사자격증을 받기 위해서는 교육실습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교사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시험은 주마다 다르다. 한국은 모든 교육과정을 이수 후 초등 교원 자격시험을 치를 수 있는 요건이 주어지는 데 비해 미국은 교원 자격시험을 실습 전까지 통과할 것이 권장 또는 요구한다고 한다. 미국은 최초 교사자격증 (initial certificate)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5년 동안 매년 적당한 양의 교사 교육 양을 이수했을 때 전문 자격증(professional certificate)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우리나라와 다르다.
시험이 다른 두 주를 살펴보면, 먼저 뉴욕주에서 교사가 되기 위해서 5가지 시험에 통과해야 한다. 이는 edTPA로 1. 과목 내용 시험, 2. 학교 지도력 평가, 3. 모든 학생 교육(educating all student) 시험, 4~5.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교육평가로 구성된 5가지를 포함한다. edTPA는 처음으로 시도된 평준화된 예비교사 시험으로 학습과 평가설계, 학생 참여와 교수, 학생학습 평가 세 가지로 구성된 실행 중심의 평가이며 현재 미국 18개 주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버지니아에서는 버지니아 교육자를 위한 읽기(Reading for Virginia Educators), 버지니아 의사소통과 문해 평가(Virginia Communication and Literacy Assessment), 아동 학대와 방치 인식, 보고, 반응(Child Abuse and Neglect: Recognizing, Reporting, and Responding for Educators)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교육 대상의 범위는 우리나라와 다르다. 우리나라는 초등교육과로 전공명이 통일되지만, 미국은 유치부에서 3학년, 4학년에서 9학년, 유치부에서 5학년, 1학년에서 6학년 등으로 주마다 다르다. 따라서 대상 범위의 구분은 전공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에서 초등교육과가 아닌 미국에서는 전공명이 유아 및 초등교육 프로그램 유치부에서 3학년(Early Childhood Education) 및 4학년에서 9학년(Middle Childhood Education), 초기아동 및 초등교육(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초기 아동 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및 중기 아동 교육(Middle Childhood) 등으로 다른 점이 인상적이다.
*참고자료: 한국과 미국의 초등교육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통합교육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이아현(2020)
'교육 Education Pendidik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에세이] 선생과 학생과 불통, 장자로 수업바라보기 (0) | 2023.01.30 |
---|---|
[교육에세이] 행복, 교육 그리고 깨달음_교육에 대한 단상 (0) | 2023.01.29 |
생활지도의 어려움의 원인, 부정적 영향 그리고 희망 (0) | 2022.10.10 |
인공지능 기반 교육 AI펭톡에 대해 알아보자.(소개, 이점, 아쉬운 점) (0) | 2022.09.27 |
교사들이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1편) (0) | 2022.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