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hb3ab [교육사] 고려(高麗) 과거제도(科擧制度)와 교육(敎育)
본문 바로가기
교육 Education Pendidikan

[교육사] 고려(高麗) 과거제도(科擧制度)와 교육(敎育)

by 청춘교사둘 2023. 2. 16.
반응형

1. 과거제도(科擧制度) 성립과 성격

 가. 광종 9년(958) 후주(後周)에서 귀화한 쌍기(雙冀)의 건의에 의해 실시

 나. 강력한 중앙집권적 전제왕권 확립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실시

 다. 문치주의(文治主義) 정치노선과 문인등용 정책으로 전환 

2. 과거 제도의 변천 

 가. 과거 제도의 정착시기 광종 9년(958)부터 18대 의종(毅宗) 24년(1170)

 나. 무신집권 시기인 19대 명종(明宗) 1년(1171)에서 24대 원종(元宗) 15년(1274)

 다. 25대 충렬왕(忠烈王) 1년(1275)부터 34대 공양왕 4년(1392)

3. 과거제도(科擧制度)의 내용

 가. 과거 시험의 종류 및 과목

   1) 제술업(製述業) : 경의(經義), 시(詩), 부(賦), 송(頌), 책(策), 논(論) 등의 문예

   2) 명경업(明經業) : 서(書), 역(易), 시(詩), 춘추(春秋), 예기(禮記) 등의 유교경전

   3) 제술업과 명경업이 과거의 중심으로 특히 고려시대는 명경업보다 제술업을 중시

   4) 잡과(雜科): 명법업(明法業), 명산업(名算業), 명서업(明書業), 의업(醫業), 주금업(呪噤業),지리업(地理業), 하논업(何論業)

 나. 절차

  1) 초시(初試) : 중앙(界首官試)과 지방(鄕試)에서 실시

  2) 국자감시(國子監試) : 중앙과 지방에서 1차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국자감에서 실시

  3) 동당감시(東堂監試),예부시(禮部試) : 국자감시에 합격한 사람이 본 최종 시험

  4) 동당감시 합격자를 제술업(製述業)은 甲, 乙로, 명경업(明經業)은 甲·乙·丙·丁으로 구분

  5) 갑과의 1등을 장원(壯元) 2등을 아원(亞元), 3등을 탐화(探花)라고 함.

 다. 횟수 및 선발인원

  1) 시험은 3년마다 행하는 식년시(式年試)를 원칙.

  2) 예종(睿宗)대에 격년제로 시행하거나 필요에 따라 매년 실시함.

  3) 선발인원은 3~40명이나 30명을 넘을 때도 있고 불과 2명을 선발할 때도 있음

 라. 응시자격 

  1)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았고 양민이면 누구나 부여됨.

  2) 오역(五逆), 오천(五賤), 불충(不忠), 불효(不孝)한자, 향(鄕)·소(所)·부곡민(部曲民) 악공(樂工) 잡류(雜類), 승려의 자손은 원천적으로 봉쇄 

마. 좌주문생제도(左注門生制度) 

  1) 과거에서 시험관과 급제자 사이의 관계가 새로 생겨 평생 부자관계의 예(禮)를 지속

  2) 초기 중앙관료의 결속을 다지는 긍정적 역할 

  3) 일종의 파벌을 형성 사회 정치 문화적 문란의 요인이 되기도 함.

 바. 과거 이외의 관리등용 방법

  1) 음서(蔭敍): 훈귀(勳貴)를 누린 부(父)나 조부(祖父)의 공으로 그 자손이 관리가 되는 것(5품 이상).

  2) 유일(遺逸) : 학덕이 있는 자를 지방관의 추천 또는 중앙에서 왕이 직접 불러들여 관리를 등용하는 것이다.

4. 과거(科擧)와 학교교육(學校敎育)

 가. 고려왕조에 있어서 교육의 국가목적은 나라를 다스리는데 있음.

 나. 인재양성은 학교 교육에 있었으나 국가의 인재등용은 과거에 의존하여 다음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 있음.

  1)과거교육의 유일한 의의는 시험에 필요한 지식을 주는데 있고, 문장형식의 학습 위주.

  2)입신양명(立身揚名)추구하는 수단. 순수 학문과 사상의 독자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함. 

  3)상고주의(尙古主義)사상이 커지고 일상생활에 있어서 예의범절 등이 형식화 고정화.

  4)결국, 학교 교육은 교육의 발달을 촉진하는 계기가 됐지만, 과거준비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

과거(科擧) 학교교육(學校敎育)
진사업(進士業)
(제술업(製述業))
국자학(國子學) 진사업(進士業)
(제술업(製述業))태학(太學)
진사업(進士業)
(제술업(製述業))사문학(四門學)
명경업(明經業) 향학(鄕學, 향교)
명법업(明法業) 율학(律學)
명산업(名算業) 산학(算學)
명서업(明書業) 서학(書學)
의업(醫業) 의학(醫學) - 태의감(太醫監)
주금업(呪噤業),  향학(鄕學)
지리업(地理業) 복학(卜學) - 사천대(司天臺)
지리업(地理業)향학(鄕學, 향교)

참고자료-1 <科擧種別과 學校敎育>

참고문헌

고벽진외5명(2005) 교육사 및 교육철학 서울시:교육과학사 40쪽∼ 43쪽

김병호(2000) 조선전기 과거제도와 과업형태에 나타난 교육의식 진주시: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6쪽~10쪽

윤 완(2003) 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시:원미사. 43쪽∼48쪽

이주한(2007) 교육의 역사와 철학의 탐구 서울시:창지사 42쪽∼ 46쪽

임채식외 2명(2002)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시:양서원 48쪽∼ 51쪽

최대원(2008) 고려의 과거제도와 교육 서울시: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8쪽~16쪽

한동일와 2명(2004) 교육의 역사・철학 이해 서울시:성균관대출판부 298쪽∼ 303쪽

 

* 대학생 때 공부하며 스스로 준비한 과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