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의예술3 [교육학에세이] 수업의 예술을 읽고 3(완료) / 장성모저 Ⅲ. 도움닫기 후, ‘수업의 예술’ 로부터 온 메세지 4. 삶이 묻어나는 수업과 성장 20장은 ‘동생 때문에’라는 동시를 가지고 교사의 주관에 따라 변용한 장면이 눈에 띕니다. 처음 이 시를 읽을 때, 교훈적이지 못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만약에 교단에 선다면, 화자의 진실이 담긴 마음보다는 교훈적 의미로 이런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학생들에게 가르쳤을 것입니다. 실제로 우수수업동영상에서는 이 시를 공부하고 또 다른 형제에 관한 시를 제시합니다. 당연히 나중에 제시한 시는 형과 아우가 서로 배려하는 내용의 시입니다. 대조를 통해 교과서에 있는 시를 한껏 초라하게 만듭니다. 이를 보면 수업에는 절대적인 것이 없습니다. 학습지도서에는 교수와 평가가 친절히 나와 있지만, 교사가 어떻게 교과내용을 이해하고 드러내.. 2023. 2. 19. [교육에세이] 수업의 예술을 읽고 2 / 장성모 저 Ⅲ. 도움닫기 후, ‘수업의 예술’ 로부터 온 메세지 2. ‘흥이 나게 하는 즉흥연주곡’ ‘수업의 예술’에 나타난 수업은 즉흥적이어서 인상적입니다. ‘즉흥연주를 한 것 같기도 하고, 오랫동안 연습에 연습을 거듭하며 준비해 온 공연을 끝낸 것 같기도 하다.’(87p)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정리하자면 교사는 그 연주를 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교과를 내면화하고 마음을 함양해야할 테지요. 실제 수업에서 어떤 질문이 나올지, 어떤 방향에서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는 알 수 없다(37p)에는 아이들과 선생님의 생각 그리고 수업사태에서 빚어 나온 예기치 못한 상황이 어우러진 ――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내면적 성장(87p)을 이루게 한다는 의미가 마음에 담겨집니다. 특히, ‘수업의 아이디어’를 보면 어떻게 아이들.. 2023. 2. 19. [교육에세이] 수업의 예술을 읽고/ 장성모 저 1 Ⅰ. 뿌연 안개 속에서 수업의 예술을 처음 쭉 읽었을 때, 상당한 감동을 일으켰지만 무언가 있는데 잡히지 않듯이, 내 마음에 충분히 와 닿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책이 의도하고자 했던 지적-정서적 유대와 교섭의 의미를 전혀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책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수업의 의미와 집필 의도, 교사로부터 전해 오는 희열을 알겠으나, 그것은 안개 속 뿌연 공간에 있었습니다. 무슨 끈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그 끈조차 보이지 않았습니다. 마치 하나씩 베일이 벗겨지는 흥미진진함이 있지만, 결말은 각자의 생각에 맡겨버리는 영화처럼 말이지요. 이런 느낌과 생각이 든 건, 초등교과를 아직 마주하지 않은 점과 교과를 곰탕 삶듯 오랜 시간 우려낸 경험도 없으니 어떠한 수업이 대체로 좋은 수업인지 그 기준을 따지기 어려.. 2023. 2.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