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hb3ab 아이들이 글쓰기를 즐기게 만드는 방법: 감각을 깨우고, 사고를 확장하는 글쓰기 지도법(독서인문선도교실운영 교사 연수-이한샘 선생님 연수)
본문 바로가기
교육에 관해서 Education Pendidikan/독서교육

아이들이 글쓰기를 즐기게 만드는 방법: 감각을 깨우고, 사고를 확장하는 글쓰기 지도법(독서인문선도교실운영 교사 연수-이한샘 선생님 연수)

by 청춘교사둘 2025. 2. 2.
반응형

"선생님, 뭘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생각이 안 나요." "쓸 말이 없어요."

글쓰기 시간을 시작하면 많은 학생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글쓰기를 어려워하고 부담스러워합니다. 하지만 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글쓰기를 즐겁게 만들 방법은 분명히 있습니다. 이한샘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 배운 다양한 글쓰기 지도법을 소개합니다.


1.  '쓸 말이 없어요?' 그렇다면 그것을 써 보자!

많은 아이들이 '쓸 것이 없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바로 그것을 글로 적게 하면 됩니다.

  • "왜 쓸 게 없을까?"
  • "무슨 생각을 했을까?"
  • "글쓰기를 하기 싫은 이유는 뭘까?"

이렇게 아이들의 고민을 하나의 글감으로 삼아 글쓰기를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자신을 들여다보게 되고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래도 쓸 것이 없다면 필사를 시켜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좋은 문장을 따라 쓰면서 문장의 흐름을 익히고 자연스럽게 글쓰기에 대한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2.  모닝페이지: 매일 쓰는 습관 만들기

글쓰기 실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꾸준히 쓰는 것입니다.

모닝페이지 실천법

  • 매일 아침 10~15분 동안 자유롭게 글쓰기
  • 글의 주제는 제한 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작성
  • 분량은 나이에 따라 조절 (예: 10세는 10줄 쓰기)
  • 교사도 함께 글을 써서 아이들에게 보여주기
  • 피드백을 통해 긍정적인 반응 제공

아이들은 처음에는 '쓸 것이 없다'고 하지만, 매일 쓰다 보면 점점 자연스럽게 글이 나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쓰느냐가 아니라, 글을 쓰는 습관을 기르는 것입니다.


3.  감각을 깨우는 돋보기 기법과 VR 기법

아이들이 글을 쓸 때 머릿속에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몸을 움직이며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글을 쓰게 하면 훨씬 풍부한 글이 나옵니다.

돋보기 기법

아이들에게 돋보기를 하나씩 준다고 상상하게 하고, 특정한 경험을 세밀하게 관찰하도록 합니다.

  • 예시: 발야구 게임을 한 후 글쓰기
    • 공 앞에 서니 눈앞이 깜깜해졌다. (눈)
    • 내 차례가 되자 심장이 쿵쿵 뛰었다. (마음)
    • 호루라기가 울리자 발이 무거워졌다. (귀, 발)
    • 점프하는 순간 공중에 떠 있는 나를 느꼈다. (몸, 눈)


4. '나는 왜?' '이건 왜?' 기법으로 깊이 있는 글쓰기

아이들이 자신의 경험과 사고를 깊이 탐구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 '나는 왜?' 기법: 자신의 행동, 습관, 취향의 이유를 탐구하기
  • '이건 왜?' 기법: 세상의 현상에 대해 궁금증을 갖고 질문하기

예를 들면,

  • "왜 사랑을 나타내는 색이 빨강일까?"
  • "비가 오면 왜 기분이 달라질까?"

이런 질문을 통해 사고력을 확장시키고, 글에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5.  생각 정리를 돕는 나뭇가지 기법과 와르르 기법

아이들이 생각이 많아서 글을 정리하지 못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법입니다.

나뭇가지 기법

  • 생각을 세 가지로 나누어 가지치기
  •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된 생각을 연결
  • 쓰기 전에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줌

와르르 기법

  • 제한 없이 머릿속의 말을 쏟아내기
  • 나중에 정리하며 핵심을 찾도록 유도
  • 일단 글을 쓰기 시작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


6.  독서 감상문: 책과 글쓰기의 연결

아이들이 책을 읽고 난 후, 기억에 남는 장면을 떠올리고 그 이유를 생각해 보게 합니다.

  • 책을 읽을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 그 장면이 기억에 남는 이유는?
  • 한 번 더 읽었을 때 감상이 달라졌는가? 왜?

이 질문에 답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독서 감상문이 완성됩니다. 책을 읽고 나서 반드시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면 사고력과 표현력이 함께 성장합니다.


7.  글쓰기는 용기가 필요한 일

마지막으로,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글을 쓰는 용기입니다.

  • 처음부터 완벽한 글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 짧은 글이라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이들이 서로의 글을 읽으며 배우게 합니다.
  • 잘한 점을 칭찬하고,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줍니다.

아이들이 '나는 글을 잘 못 써'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나는 글을 쓸 수 있어!'라는 자신감을 갖도록 지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